-
[목차]
- 소스트리란(사용이유)
- 소스트리 장단점
- 로컬, 원격이란
- 소스트리 기능
소스트리란(사용이유)
소스트리란(사용이유)
- GIT을 GUI로 사용자가 더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 입니다.
- 시각적이라서 다음행동으로 무엇을 해야할지 알려주기때문에 비전문가라도 쉽게 사용가능하다(소스트리 목적)**
- GUI란: 마우스로 아이콘을 클릭하며 프로그램을 작동시키는 컴퓨팅 환경을 말합니다.
소스트리 장단점
소스트리 장점
- 한글을 지원하기 때문에 Git 입문이 쉬우며 시각화 머지, 브런치등 시각화가 아주 잘 되어있으며 시각적으로 다음행동이 무엇을 해야할지 알려주기 때문에 비전문가도 사용하기 쉽습니다.
소스트리 단점
- 소스트리는 한개의 계정만 취급하기 때문에 재 로그인을 하거나 변경이 원활히 되지 않습니다. 이미지(png, jpg)가 보이지 않습니다.
로컬, 원격이란
- 원격 저장소: 파일이 원격 저장소 전용 서버에서 관리되며 여러 사람이 함께 공유하기 위한 저장소입니다.
- 로컬 저장소: 내 PC에 파일이 저장되는 개인 전용 저장소입니다.
소스트리 기능
1. 프로젝트 탭입니다. 이 탭 하나에 원격과 로컬 저장소를 한묶음으로 보여줍니다.
2. 새로운 프로젝트 탭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.
3. 자주 사용하는 Git명령어들 입니다. - 커밋(Commit) : 스테이지에 올린 파일들을 한묶음으로 스냅샷을 찍음
- 스냅샷이란: 상태를별도의 파일이나 이미지로 저장하는 기술로, 스냅샷 기능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면 유실된 데이터 복원과 일정 시점의 상태로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습니다.
- 푸시(Push) : 로컬저장소에 있는 커밋을 원격저장소에 업로드 함
- 패치(Patch) : 새로고침
- 브랜치(Branch) : 새로운 브랜치를 생성하거나 삭제함
- 병합(Merge) : 두개의 브랜치를 하나로 합침
- 스태시(stash) : 작업하던 도중 브랜치를 바꾸거나 할 때 Tracked 상태인 파일들을 임시저장함
- 태그(Tag) : 보통 배포할 때 버전을 태그로 스냅샷을 남김**
- **- 풀(Pull) : 원격저장소(Remote Repository)에 있는 모든 커밋을 다운로드 받음
4. Git을 사용하기 위한 편의 기능입니다. - 깃플로우 : Git-flow로 사용할 브랜치 명칭을 보여줌 - 원격 : 원격저장소(Remote Repository)를 엽니다. - 터미널 : CLI를 실행할 수 있게 명령창 또는 터미널 창을 엽니다. - 탐색기 : 윈도우 탐색기를 엽니다. - 설정 : 설정창을 엽니다.
5. 로컬 저장소의 브랜치들입니다. 현재는 master만 있네요.
6. 태그입니다. 보통 배포 버전을 생성할 때 사용합니다.
7. 원격 저장소(orign)의 브랜치들입니다.
8. 임시저장한 스테시 정보를 보여 줍니다.
9. 히스토리 창입니다. 이 프로젝트의 히스토리를 한눈에 볼 수 있습니다.
10. 커밋에 대한 설명과 커밋을 누가했는지 어떤 파일을 커밋했는지를 보여 줍니다.
11. 커밋한 파일의 소스를 보여 줍니다.
12 - 모든 브랜치에서 브랜치 마다 볼 수 있게 할 수 있습니다.
'개발관련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쿠키, 세션, 토큰 (0) 2023.02.13 Chrome://inspect (0) 2023.02.08 Gitlab (2) 2023.02.03