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[목차]
- 깃랩이란
- 깃랩의 장단점
2-1 장점
2-2 단점 - 깃랩 기존 폴더 푸시방법
- 형상관리
- 어떠한 문서나 파일이 변경될 경우, 변경된 내용과 그 원인을 기록 했다가
나중에 필요한 경우 찾아볼 수 있도록 관리하는 것을 말합니다
깃랩이란?
- 프로젝트 버전 관리를 위해 사용 합니다.
- 이슈 트래커를 이용해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업무들을 관리해줍니다.
- 서비스형 원격 저장소를 운영하는 것에 대한 비용이 부담되거나, 소스코드의 보안이 중요한 프로젝트에 사용한다.
- 소스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형상관리 플랫폼 입니다
깃랩의 장단점
2-1. 장점
- 오픈 소스 라이선스 입니다.
- 모든 계획에서 자체 호스팅을 허용합니다.
- Git과 매우 잘 통합되어 있습니다.
2-2. 단점
- 리포지토리를 밀고(Push) 당기는(pull) 동안 Github만큼 빠르지는 않습니다. (깃랩은 안정성에 중접을 두기 때문에 다소 느릴 수 있다)
- 한 페이지에서 다른 페이지로 전환하는 동안 GitLab 인터페이스 시간이 걸립니다.
깃랩 기존 폴더 푸시 방법
1. git config 초기 설정
아이디 닉네임 설정: user name 과 user email을 등록하기 위해 아래 명령어를 참고해주세요.
git config — global [user.name](<http://user.name>) “gitlab 이름” git config — global [user.email](<http://user.email>) “gitlab 이메일”
2. git init
git init
git init: 깃 저장소를 초기화 합니다. 이 명령어를 실행하기 전까지는 그저 일반폴더 입니다.
3. git remote add origin <원격 저장소 URL>
git remote add **origin** <원격저장소별칭> **<원격 저장소 URL>**
작업한 소스를 원격저장소에 추가한다
origin: 원격 저장소를 가르키는 일반적인 별칭으로 사용한다.
4. git add
git add <옵션>
작업 디렉토리 상의 변경 내용을 스테이징 영역에 추가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Git 명령어입니다.
5. git commit
git commit -m “commit message”
Commit은 Git의 기본 저장 단위입니다.
Commit 파일들에 대한 스냅샷이라고 부르며 Commit은 Commit을 찍은 시간의 파일들의 상태에 대해 저장합니다.
6. git push
git push -u origin master
****git push <리모트 저장소 이름> <브랜치 이름>`으로 단순하다. master 브랜치를 origin
서버에 Push 하려면(자동으로 origin 이름이 생성된다) 위와 같이 서버에 Push 한다.
브랜치, 머지 알기
**브랜치란 : 코드를 통째로 복사하고 나서 원래 코드와는 상관없이 독립적으로 개발할 수 있게 해줍니다. *이 붙어있는 것이 현재 선택된 브랜치입니다. checkout
- 이 브랜치를 사용 하겠다고 명시적으로 지정해 주어야 합니다. 이 때 사용하는 명령어가 바로 checkout 입니다.
- checkout: 내가 사용할 브랜치를 지정하는 것을 의미합니다.**
*branch명령어 git branch master
*git branch 브랜치 이름 git branch master 브랜치 이름
*git checkout 브랜치 이름 git branch master 브랜치 이름
커밋
git add 수정한 html git commit -m “message” git push origin 체크아웃된 브랜치 이름
머지
머지란: 각 분기된 커밋을 하나의 커밋으로 다시 합치고 싶을 때 사용하는 명령어 브랜치 커밋을 다 한 후 머지를 진행해야 합니다! git checkout master
- master 브랜치 이름
git merge 브랜치 이름
git push origin master
하면 master에 정상적으로 표시가 됩니다!
깃랩이란? - 프로젝트 버전 관리를 위해 사용 합니다.
- 이슈 트래커를 이용해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업무들을 관리해줍니다.
- 서비스형 원격 저장소를 운영하는 것에 대한 비용이 부담되거나, 소스코드의 보안이 중요한 프로젝트에 사용한다.
- 소스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형상관리 플랫폼 입니다.
'개발관련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쿠키, 세션, 토큰 (0) 2023.02.13 Chrome://inspect (0) 2023.02.08 Souretree (0) 2023.02.07